본문 바로가기

깨끗한 지구를 위해

의료폐기물의 분류와 고온 멸균 처리 방식

의료폐기물의 정의와 주요 분류 기준

의료폐기물은 병원, 요양병원, 진료소 등 의료기관뿐만 아니라 수의병원, 연구실 등에서 진료나 실험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의미한다. 일반 가정에서 나오는 폐기물과는 달리 감염 가능성이 크거나 유해한 물질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어, 분리수거와 안전한 처리 과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우리나라의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에 따르면, 의료폐기물은 크게 감염성 폐기물, 병리계 폐기물, 손상성 폐기물, 화학성 폐기물, 폐기된 약품 등으로 나뉜다. 감염성 폐기물에는 사용한 주사기, 혈액이 묻은 거즈, 인체 조직 일부 등이 포함되며, 병리계 폐기물은 수술 중 제거된 인체의 일부나 조직을 말한다. 손상성 폐기물은 주사 바늘, 외과용 칼날처럼 날카로운 물체를 지칭하며, 화학성 폐기물은 실험용 시약이나 소독제 등 화학 물질이 남아 있는 것을 말한다. 이렇듯 의료폐기물은 종류별로 위험성이 다르기 때문에, 분류 기준의 엄격한 적용이 공중보건과 직결된다.

 

고온 멸균 처리 방식의 개념과 필요성

과거에는 의료폐기물을 대부분 소각 방식으로 처리했지만, 다이옥신과 같은 2차 오염 문제로 인해 점차 고온 멸균 처리 방식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고온 멸균, 멸균 증기 멸균은 고압의 증기를 이용해 폐기물을 121~135에서 일정 시간 이상 가열함으로써 박테리아, 바이러스, 포자 등을 완전히 사멸시키는 방법인데, 주로 121에서 15~20분 가열하는 방식을 쓴다. 대표적인 기술로는 오토클레이브(Autoclave)’가 있으며, 이는 외부로 감염원을 유출시키지 않고도 내부에서 균을 사멸시킬 수 있어 안전성이 뛰어나다. 특히 감염성 폐기물이나 손상성 폐기물과 같은 민감한 분류에서는, 이러한 고온 멸균 과정이 의료기관 내부에서 1차 감염을 방지하고, 이후 처리업체에서도 추가 소각 없이 안전하게 처리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여러 나라에서 이 기술이 보편화되고 있는 배경에는, 폐기물 처리에 있어 친환경성과 감염 예방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의료폐기물의 분류와 고온 멸균 처리 방식

 

실제 의료기관에서의 처리 절차와 기술 적용

현장에서는 의료폐기물이 배출되는 즉시 종류별로 지정된 전용 용기에 담겨 분리 수거되며, 각 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전용 봉투나 용기가 달리 사용된다. 예컨대 감염성 폐기물은 붉은색 봉투, 손상성 폐기물은 노란색 전용 용기에 담기고, 모든 폐기물에는 배출일자, 기관명, 내용물 등이 기록된다. 이후 폐기물은 인증된 전문 처리업체로 운송되며, 이 과정 역시 실시간 위치 추적 시스템을 통해 감시된다. 처리업체에 도착한 의료폐기물은 고온 멸균 처리 시설로 옮겨지며, 오토클레이브 장비에 투입되어 1차 멸균을 거친다. 처리된 폐기물은 이후 무해화가 확인된 경우에 한해 일반 생활폐기물로 재분류되어 매립되거나, 필요시 소각된다. 일부 고도화된 처리시설에서는 자동 이송장치와 로봇 팔을 도입해 접촉 최소화를 실현하기도 하며, 이는 작업자의 안전을 높이고 감염 확산 가능성을 줄이는 효과를 거두고 있다. 또한, 폐기물 무게와 종류에 따라 처리비용이 자동 산정되는 스마트 계량 시스템도 점차 확산되고 있다.

 

국내외 의료폐기물 처리 정책의 변화와 과제

우리나라를 비롯한 다수의 선진국에서는 의료폐기물 처리 기준을 점점 더 강화하는 추세다. 국내에서는 2018년 이후 의료폐기물의 발생량이 급증하면서, 고온 멸균 방식의 확대 도입이 정부 정책으로 적극 추진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을 계기로 비말 차단용 마스크, 검사나 처치시에 사용된 PPE(개인 보호 장비) 등이 대량으로 배출되면서, 감염성 폐기물의 안전한 처리 체계 구축이 국가 보건안보와 직결된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한편 유럽에서는 이미 많은 국가들이 소각 방식에서 멸균 방식으로 전환을 마쳤으며, 독일과 스웨덴은 의료폐기물 중 80% 이상을 고온 멸균 후 재활용하거나 에너지화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처리비용 부담, 시설 부족, 지방 자치단체 간 처리 책임 분담 등 구조적인 문제도 존재한다. 앞으로는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 감염예방, 환경보호, 비용 효율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정책 설계가 요구되며, 이는 시민과 의료현장, 처리업체 간의 협력과 교육 없이 실현되기 어렵다.